본문 바로가기

REVIEW/문학

루바이야트 - 에드워드 피츠제럴드 | 민음사(1997)

루바이야트 - 에드워드 피츠제럴드 | 민음사(1997)


오마르 카이얌(Omar Khayyam)은 11세기 중엽 페르시아 동북부 지방 코라싼주의 나이샤푸르에서 태어났다고 전해지나 출생연대는 정확치 않다. 오마르 카이얌이 살았던 시대는 셀주크 투르크 왕조가 문화적으로도 전성기를 맞이하고 있던 시대였다. 기독교인들의 성지인 예루살렘을 차지하고 순례자들을 박해하기 시작한 것도 이 무렵의 일이다. 오마르 카이얌이 언제쯤 숨졌는지는 알 수 없으나 교황 우르바누스2세가 처음 십자군을 일으킨 1096년 이전에 숨지지 않았을까 추측해 본다.

 

오마르 카이얌의 이름도 정확하게 누구를 의미하는지는 알 수 없다. 다만 <루바이야트>는 11세기경에 살았던 천문학자이자 수학자, 역사학자, 철학자(당시의 지식인이란 존재를 생각해볼 때 이렇듯 다방면으로 재주를 보이는 것이 불가능하지는 않았다)였던 이가 오마르 카이얌('카이얌'은 천막제조업자란 뜻)이란 필명을 써서 4행시 "루바이"를 쓴 것이다. 위에 인용된 구절들을 살펴보면 알겠지만, 그의 루바이들은 매우 교훈적이면서도 생의 찰나적 흐름에 주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교훈적이라고는 하지만 허무의 냄새가 묻어나기도 한다.

 

우리는 흔히 이슬람 문명권을 통칭해서 아랍이라 말하지만, 아랍은 단지 아라비아 반도의 지리적 호칭이고, 이슬람이나 무슬림은 종교적 명칭이다. 원래 아랍이란 말은 좁게는 아라비아 반도 일대만을 일컫는 말이었으나 아라비아 반도를 세력 기반으로 하여 일어난 마호메트의 지지자들에 의해 사상적, 정치적으로 포섭된 페르시아 지역까지 아랍이라고 통칭했다. 나중엔 그 의미가 점차 확대되었다.

 

"루바이야트"는 4행시의 복수형으로 "4행시집" 이란 뜻이다. 우리의 시조처럼 정형화된 율격이 있지는 않으므로 형식상은 자유시이겠지만, 4행이 한 연을 이루는 형식을 갖추고 있다. 루바이야트는 모두 101수의 시들로 구성되어 있다. 4행이 하나의 연이면서 독립적인 시 한 편이 된다. 각각의 시들은 모두 다른 주제를 노래하면서도 작품 전체를 관통하고 있는 일반적인 정서는 "개똥밭에 굴러도 이승이 좋다"는 민중적 현세관을 담고 있다. 그런 현세관과 더불어 오늘에 충실하라는 교훈적인 메시지를 담고 있는 것이 오늘 우리에게도 여전히 감동으로 다가온다. 가만히 따지고 보면 그네들의 시가 현세적인 풍요를 추구한다고 해서 이상할 것은 없다. 그들은 오랫동안 낙타를 타고 사막을 누비던 중개무역상들이 아니었던가?

 

7.
오라, 와서 잔을 채워라, 봄의 열기 속에
회한의 겨울옷일랑 벗어 던져라
세월의 새는 멀리 날 수 없거늘
어느 새 두 날개를 펴고 있구나.

 

일곱번째 루바이에서 시인은 "세월의 새는 멀리 날 수 없거늘/ 어느 새 두 날개를 펴고 있구나"라고 노래하고 있는데, 이는 동양의 "일촌광음불가경(一寸光陰不可輕)"과 대등한 시구라 할 수 있다. 사막의 석양은 분명 보기 드물게 아름다울 것이다. 그러나 해는 또 순식간에 저버리고 밤의 사막은 세월의 무상함을 실감하게 했을 것이다.

 

20.
살아나는 풀잎이 뒤덮은 강둑,
그 위에서 노닐 때에는 조심을 하오.
그 옛날 귀한 이의 입술 위에서
몰래 핀 풀인지 누가 알리요

 

20번째 루바이에서 시인은 풀잎 하나라도 조심하라고 말한다. 그 까닭은 강둑을 무심히 뒤덮은 풀잎 하나조차 과거 영화를 누렸을 어느 인물이 죽은 뒤 흙으로 돌아가 풀로 피어난 것인지 모르기 때문이다. 나머지 시편들 역시 시에서 드러나고 있는 이미지들은 비록 화사하고 아름다운 것들일지라도 그 이면엔 역시 현세의 삶에 대해 충실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오늘은 마땅히 즐겨야하는 것이고, 미래는 불확실하다.

 

25.
오늘만을 위해서 사는 이 있고
내일을 지켜보는 사람 있지만
암흑의 탑에서 들려오는 저 목소리
"바보여, 그대의 보답은 어디에도 없으리."

 

25번째 루바이의 마지막은 종종 많은 곳에서 인용된다. "바보여, 그대의 보답은 어디에도 없으리." 오늘을 위해 살든 내일을 위해 살든 누구에게나 죽음은 공평하고 피할 수 없는 것이다. 페르시아의 유명한 우화 '죽음을 피해 달아난 사내' -  한 사내가 점장이에게 점을 보았다. 점괘에 따르면 오늘밤 안으로 그 사내가 죽을 것이란 내용이었다. 사내는 마치 괴테의 "마왕"처럼 죽음의 사자를 피해 달아나기 시작했다. 그 시간, 죽음의 사자는 테헤란 거리를 어슬렁거리며 사내를 찾고 있었다. 죽음의 사자는 말한다. "이 녀석이 오늘 중으로 테헤란에서 죽기로 되어 있는데 아직 안 보이는군." 죽음의 사자가 말을 채 마치기도 전에 사내는 말을 달려 죽음의 사자 앞을 달려간다. 죽음의 사자는 그를 보고 달려가 목숨을 빼앗아 버린다. 죽음의 운명은 누구에게나 공평하고, 죽음은 누구에게도 별다른 보답을 주지 않는다. 죽는다는 것은 그저 죽는 것이다. 이런 태도는 47번째 루바이를 비롯해 여러 편의 루바이들에서 반복되고 있다.

 

47.
그대와 내가 함께 장막을 지나가도
이 세상은 오래오래 살아 남으리
바닷물에 밀리는 조약돌 인생
머물다 간다 한들 아는 체할 세상인가

 

이렇듯 삶과 죽음에 대한 현실적이고도 냉정한 관찰은 오랫동안 대상 무역에 종사하거나 유목을 위해 사막을 횡단하며 체득한 삶의 방식과도 깊은 연관이 있을 것이다. 여기저기 떠돌아다니며 양떼를 방목하는 그들로서는 노동력을 발휘할 수 없고 체력이 약한 노인들은 짐이 되기에 어떤 유목민들은 새로운 방목지로 떠나기에 앞서 늙은 부모를 위해 작은 천막을 지어준다고 한다. 20여일치 정도의 식량과 더불어 그들이 즐겨 사용했던 물품 몇가지를 함께 놓아둔다는데, 할아버지와 아버지, 손자 삼대가 할아버지를 천막으로 모시고 갔다가 아버지와 아들만 돌아오는 것이다. 

 

35.
행여나 삶의 비결 찾을까 하고
초라한 술항아리 입술을 찾네
입술에 입술 대고 속삭이는 항아리
"마셔라, 살아 생전, 한 번 가면 못오리"

 

우리들 농경민족에게 삶과 죽음은 언제나 고정된 장소에서 익숙한 사람들 틈바구니에서 일어나는 일이지만 사막의 유목민들에게 있어 삶과 죽음이란 언제나 낯선 환경에서 일어나는 일이다. 오늘날 우리가 아랍 저편으로 사라질 뻔한 "루바이야트"를 읽을 수 있게 된 것은 빅토리아 왕조시대 영국의 상류계급이었던 "에드워드 피츠제랄드"의 공로이다. 그는 취미 삼아 번역을 즐겼는데, 오마르 카이얌의 시 75편을 번역해 주변의 친구들에게 나눠주었다. 이 시를 읽고 감동한 단테 가브리엘 로세티(Dante Gabriel Rossetti)는 자신의 친구이자 시인인 스윈번(Charles Swinburne)에게 다시 이 책을 소개했고, 입에서 입으로 퍼져 당대의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피츠제랄드는 이런 반응에 힘입어 35편의 루바이를 덧붙이고, 다시 번역하여 모두 101편의 루바이로 묶은 것은 1879년의 일이었다.

 

그러나 번역은 반역이란 말도 있듯 피츠제랄드의 번역을 두고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제법 논쟁이 있었다. 그가 오마르 카이얌의 원시에 충실하게 번역한 시들은 불과 49편에 불과하다는 지적도 있고, 심지어 이중 8편 가량은 피츠제랄드가 오마르 카이얌의 루바이들을 제 멋대로 덧대거나 생략하여 만들어 낸 것이라는 것이다. 어쨌든 오마르 카이얌의 시가 빅토리아 왕조 시대 영국에서 크게 유행하여 베스트셀러가 된 것은 어떤 이유에서였을까? 우리에게도 잘 알려진 바대로 빅토리아 시대의 영국은 온갖 근엄한 도적과 엄숙하기 그지 없는 기독교적인 세계관의 뒤안에서 상류계층 사람들끼리 온갖 불륜과 부도적한 일들이 벌어졌던 시대로 알려져 있다. 그런 시대에 현세적이면서도 허무한 세계관을 4줄의 짤막한 시행들로 표현하고 있는 루바이들은 당대의 지식인들에게 충격이면서 동시에 기쁨이었을 것이다.

 

따지고보면 서양에서도 이런 전통은 로마 이래로 "오늘을 즐겨라!(Carpe Diem)"이란 구호에 따라 충실하게 진행되어 오지 않았던가. 21세기 새로운 노마드(유목인)들에게도 여전히 "오늘"은 불확실하고, 내일은 확실한 죽음이 기다리고 있다. 그러니 이 시집을 읽으며 오늘을 즐기는 일도 그다지 나쁘진 않으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