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VIEW/문학

진달래꽃 - 김소월 | 민음사(1977)

옷과 밥과 자유
     


공중에 떠다니는

저기 저 새요
네 몸에는 털 있고 깃이 있지

 

밭에는 밭곡식
논에는 물베
눌하게 익어서 숙으러졌네

 

초산(楚山)지나 적유령(狄踰靈)
넘어선다.

 

짐 실은 저 나귀는 너 왜 넘니?


 

나는 소월 김정식의 시를 가슴 깊이 절절하게 느껴본 적이 몇 번 없었다. 그러니까 최근 그의 시들을 다시 접하기 전까지는 말이다. 그러니까 나의 시 감상이란 것은 대개 좀더 직접적으로 분출되는 어떤 정서적인 것에 기댄 바가 컸던 것이다. 조용필이란 가수를 알기 위해서 내게는 좀더 나이 듦의 시간이, 위스키가 참나무통 안에서 숙성해 가듯 탄닌과 기타 성분이 참나무통이란 숨쉬는 공간 안에서 숙성해가는 것처럼 인간의 영혼을 가두고 있는 육신의 참나무 통도 그렇게 갇힌 듯 숨쉬며 숙성해 가는 공간이 바로 삶의 자리인지도 모르겠다.

 

어찌보면 다 늙어가는 마당에 김소월이라니 하고 우습게 볼 것이 아니라 나이 드니 비로소 소월의 시가 눈에 드는 것인지도 모른다. 그도 그럴 것이 소월의 시를 단순히 여성적인 정조의 한이 맺힌 시라고만 학교에서는 가르쳐주지 않는가. 시가 미술과 비슷한 점은 그걸 설명하고 해석하기 시작하면 그 맛이 절반 이하로 줄어 든다는 것이다. 시 감상은 먼저 느끼는 것으로부터 시작되는 것이다.



 ▶ 김소월 생가


소월 김정식(1902 ~ 1934)은 평안북도 곽산 출생으로 원래 부유한 광산업자의 장손으로 태어났다. 부유한 집안의 장손이란 것은 비록 부유해본 적은 없지만 우리 사회에서 장손이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 아는 이들은 알 것이다. 금지옥엽이란 말이 괜히 생겼을까. 그러나 부유하고 행복했을 법한 이가 추락하며 느끼는 낭패의 높이감이란 바닥 언저리에서의 추락과는 분명 다른 것이었으리라. 소월의 부친은 어떤 이유에서인지(소월의 나이 2세 때 아버지 김성도(性燾)는 철도를 부설하던 일본인 목도꾼들에게 폭행을 당해 정신병을 앓게 되었다고 한다) 실성하고, 이런 가족사의 비극은 어린 소월에게 깊은 상처로 자리해 그의 유년 시절의 커다란 그늘이 되었을 것이다.

 

그의 조부는 한문학을 가르치며 손자를 양육하였고, 소월의 나이 15세 때 조만식이 교장으로 있었던 오산중학교에 들어가 안서 김억의 제자가 된다. 그러던 중 3.1 운동이 일어나 오산학교가 폐쇄당하자 배재중학으로 편입하여 졸업한다. 1923년 일본 동경상과대학 전문부에 입학하였으나 그해 9월 관동대지진을 경험한 뒤 학교를 중퇴하고 귀국한다. 이 대목에서 주목해볼 일은 소월의 집안에서 일어난 2대에 걸친 일본인들의 집단 린치에 대한 경험이다. 아버지는 제국의 경계를 넓히려는 첨병이랄 수 있는 철도 부설의 목도꾼들에게 집단 폭행을 당했고, 그 아들인 소월은 "관동대지진"이라는 비극을 경험한다.

 

1923년 9월 1일 오전 11시 58분. 일본의 관동지방을 급작스럽게 덥친 강도 7.9의 지진은 일본 역사상 최대의 피해를 일으켰다. 사망자 91,344명, 가옥 전파·소실 가옥 464,900호라는 엄청난 숫자는 일본에 일종의 패닉 현상을 불러 일으키고, 일본 정부는 이에 대한 일본인들의 불안감과 혹시 있을지 모르는 반정부적 행위의 빌미를 다른 곳으로 돌리기 위해, 그야말로 로마를 불태운 네로가 그 책임을 기독교도들에게 돌린 것처럼 그 책임을 조선인, 중국인, 노동자, 사회주의자들에게 돌려 6천명, 1만명에 이르는 조선인들이 학살 당했다. 지진이 발생한 9월 1일 오후에는 이미 관동지방 각지의 경찰서 내에 '불령 선인(不逞鮮人)들이 우물 속에 독약을 던지고, 방화, 강도, 강간'을 하고 있다는 유언비어가 퍼지기 시작했고, 파출소 앞에 '조선인폭동'이라는 벽보가 내 걸리고, 경찰은 제 정신이 아닌 민중을 향해 메가폰을 들고 유언비어를 퍼뜨리며 돌아다녔다.

 


 ▶ 관동대지진 당시 조선인들을 폭도로 몰아 학살하는 일본인 자경단
관동대지진 : 1923년 9월 1일 오전 11시 58분, 도쿄, 카나가와, 치바, 사이타마, 시즈오카, 야마나시, 이바라키의 1부 6현에 강도 7.9의 대지진이 일어났다. 지진과 함께 발생한 화재로 인해 9만9,331명이 사망했고, 4만3476명이 행방불명되었으며, 가옥전파가 12만8,266호, 반파가 12만6233호, 화재로 인한 소실이 44만7128호에 달하는 엄청난 피해를 입었다.

일본 정부는 관동대지진으로 인해 극도로 혼란해진 민심을 안정시키려는 목적으로 - 지진과 화재가 일어나는 와중에 조선인들이 약탈과 방화, 우물에 독극물을 넣는 등의 불령스러운 행동을 하는 자들이 있어 재난을 당한 이들을 보호해야 한다는 명분을 들어 - 이튿날인 9월 2일 제국헌법 8조에 따라 계엄령을 선포했다. 당시 일본 정부가 이처럼 터무니없는 유언비어를 퍼뜨린 이유는 몇 해 전 조선에서 일어난 3.1만세운동(1919년)의 영향으로 조선은 물론 일본과 중국 등으로 퍼져나가던 조선인들의 해방운동을 경계하고, 당시 재일조선인 사회주의자와 노동자들이 일본 사회주의자 및 노동자와 연대하려는 움직임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목적이 내포되어 있었다.

일본 정부는 대지진의 혼란 속에서 “조선인이 폭동을 일으켰다”는 유언비어를 퍼뜨렸고, 군대와 경찰뿐만 아니라 민족적 편견에 사로잡힌 일본인들이 결성한 자경단 등이 합세하여 조선인 6,661명을 조직적으로 학살했다. 이후 일본 정부는 이와 같은 조선인 학살의 역사적 사실을 은폐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개입했으며 현재까지도 희생자인 조선인들이 학살의 원인 제공자인 것으로 역사를 왜곡하고 있다.



이런 유언비어들은 다시 등사판 인쇄물로 복제되어 대량으로 배부되었고, 지진이 발생한 며칠 뒤인 3일에는 내무성 경보국장 이름으로 '조선인 가운데는 폭탄을 소유하고 도쿄 시내에 석유를 부어 방화하는 자가 있다'는 전보를 일본 각지의 지방장관들에게 퍼뜨렸다. 결국 군대·소방대와 같이 국가기관과 민간인 자경단에 의해 조선인들에 대한 학살이 자행되어 수많은 조선인들이 살상당했다. 그리고 그 시점에 소월은 일본에 있었고, 적지 않은 충격을 받았으리라는 것은 말하지 않아도 알 수 있는 일이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까지 소월은 정치적인 의미들은 탈색된 채 탈역사적, 탈정치적 맥락에서의 무미무취(?)한 민요적 서정만 읊조리다 간 시인으로 기록되어 왔던 것이 사실이다. 관동대지진의 학살을 피해 귀국한 소월은 <초혼>을 지었고, 이 시가 관동대지진으로 학살된 조선인들의 영혼을 위로하기 위함이란 것은 누구라도 알 수 있는 것이었다.



초혼(招魂)

 


산산이 부서진 이름이여!

허공 중(虛空中)에 헤어진 이름이여!

불러도 주인(主人) 없는 이름이여!

부르다가 내가 죽을 이름이여!

 

심중(心中)에 남아 있는 말 한 마디는

끝끝내 마저 하지 못하였구나.

사랑하던 그 사람이여!

사랑하던 그 사람이여!

 

붉은 해는 서산(西山) 마루에 걸리었다.

사슴의 무리도 슬피 운다.

떨어져 나가 앉은 산(山) 위에서

나는 그대의 이름을 부르노라.

 

설움에 겹도록 부르노라.

설움에 겹도록 부르노라.

부르는 소리는 비껴 가지만

하늘과 땅 사이가 너무 넓구나.

 

선 채로 이 자리에 돌이 되어도

부르다가 내가 죽을 이름이여!

사랑하던 그 사람이여!

사랑하던 그 사람이여!    

 


물론 이 학살의 배후에는 일본 제국주의가 있었다. 그렇게 일본에서 도망치듯 귀국한 뒤 소월은 할아버지가 운영하는 광산 일을 도우며 고향 땅에 머무르고 있었다. 그러나 조부의 광산업 실패로 집안 가세가 급격하게 기울어 처가가 있는 구성군으로 이사하였고, 이곳에서 동아일보 지국을 개설해 경영하며 생활고를 덜어보고자 했으나 이마자도 여의치 않아 그는 심한 염세증세를 보이기 시작했다. 그리하여 그는 1934년 고향 곽산으로 돌아가 치사량의 아편을 먹고 그만 자살하고 만다.

 

▶ 서울 남산 소월길에 위치한 소월시비 : 대학 다닐 때 하루가 멀다하고 자주 올라갔던 그 길에 서 있던 소월 시비였지만 소월의 시에 새겨진 참맛은 미처 알지 못했었다. 


소월에 대한 어떤 이미지들은 고정되어 우리에게 전해지고 있지만, 소월에게서 단지 여성적인 정조의 한풀이만을 발견할 것은 아니다. 다음의 시를 보도록 하자.



바라건대는 우리에게 우리의 보습 대일 땅이 있었더면
 

 


나는 꿈꾸었노라, 동무들과 내가 가지런히

벌 가의 하루 일을 다 마치고
석양에 마을로 돌아오는 꿈을,
즐거이, 꿈 가운데.

 

그러나 집 잃은 내 몸이여,
바라건대는 우리에게 우리의 보습 대일 땅이 있었더면!
이처럼 떠돌으랴, 아침에 저물 손에
새라 새로운 탄식을 얻으면서.

 

동이랴, 남북이랴,
내 몸은 떠 가나니, 볼 지어다.
희망의 반짝임은, 별빛의 아득임은,
물결뿐 떠올라라, 가슴에 팔다리에.

 

그러나 어쩌면 황송한 이 심정을!
날로 나날이 내 앞에는
자칫 가느란 길이 이어가라.
나는 나아가리라
한 걸음, 또 한걸음.
보이는 산비탈엔 온 새벽 동무들
저 저 혼자…… 산경을 김매이는.



소월의 재발견, 그것은 내게 커다란 기쁨이었다. 나이를 먹는다는 것에서 즐거움을 발견한다. 그것은 참나무통에 갇혔다는 사실을 발견했기 때문이 아니라 그 안에서도 호흡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는 것이다. 낯익은 듯 모르는 시인들을 다시 알게 된다는 것...
이만하면 나이드는 것도 행복이지 않은가.  젊은 혈기로는 도저히 감당할 수 없거나 도달할 수 없는 무언가의 느낌을 얻는 것은 말이다. 종종 우리네 문학교육은 시인을 규정해버림으로써 시인에 대한 자유로운 해석을 도리어 규제해버린다. 문학이란 학문이기 이전에 예술이란 사실을 망각해버린 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