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쇠인간 | 테드 휴즈 지음 | 서애경 옮김 | 비룡소(2003)
무쇠인간 | 테드 휴즈 지음 | 서애경 옮김 | 비룡소(2003)
실비아 플라스의 무덤엔 오늘날까지도 고인의 비석에서 남편 테드 휴즈의 성을 파내려고 덤비는 공격적인 여성주의자(페미니스트)들 혹은 실비아 플라스 시의 매니아들 때문에 여전히 훼손 당하고 있다. 그녀의 비석엔 실비아 플라스 휴즈라고 새겨져 있기 때문이다. 그는 실비아 플라스의 죽음을 둘러싼 세간의 많은 입방아들로부터 오랫동안 침묵을 지키다가 그녀의 죽음 35주년을 맞이하여 "생일편지"라는 시집을 출간한다. 어쩌면 실비아 플라스와 그의 가족에게 있어 그녀의 자살이 더욱 더 비극적인 사건으로 다가오는 까닭은 그녀 자신의 행동보다 그녀의 죽음을 자신들의 상징으로 삼고자 했던 이들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영화가 그리고 있는 세계는 1957년 무렵 미국의 메인주 록웰이란 도시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1957년 록웰이란 도시를 배경으로 한다는 사실만으로도 이 영화 <아이언 자이언트>가 만만치 않은 영화가 될 것이란 예감을 충분히 받을 수 있는데, 그런 예감을 확신으로 바꾸는 이름은 이 영화의 감독 브래드 버드가 이미 TV 만화영화 시리즈인 <심슨 가족>의 감독으로 명성을 얻은 인물이란 사실이다. <심슨 가족>은 잘 알려진 미국 사회의 부조리를 풍자한 애니메이션 시리즈로 미국 TV판 아카데미라 할 수 있는 애미상을 10번에 걸쳐 수상한 작품이기 때문이다. 그는 또한 '8번가의 기적'의 각본을 쓴 장본인이기도 하다. 게다가 만화영화란 측면에서 오랫동안 디즈니식 애니메이션과 치열한 경쟁을 해왔던 워너브라더스에서 심혈을 기울인 작품이기도 했다.
결과는? 미국내 흥행에 참패했고, 미국 애니메이션이라고 하면 디즈니식 판타지에 익숙한 국내 영화관에서는 개봉도 하지 못한 채 바로 비디오로 출시된 작품이기도 하다. 그러나 흥행에 참패했다고 해서 영화도 꽝이라는 선입견은 이 영화에서만큼은 통하지 않는다. 프랑스에서 개봉될 당시 <누벨 옵세르바떼르>는 "훌륭하다. 그리고 충분히 감동적이다" 라며 이 애니에 대해 격찬을 아끼지 않았고, 국내에서도 입소문을 타고, 훌륭한 애니메이션으로 매니아들 사이에서 호평을 받고 있다. 이 작품의 원작이 바로 테드 휴즈의 "무쇠인간"이었다. 이 책도 영화와 마찬가지로 국내 동화시장에서 어지간히 빛을 보지 못한 편이라 그다지 널리 알려져 있지는 못한 듯 하다.
국내의 어린이 도서 시장에서 인기있는 책들은 비교적 밝은(?) 내용과 색채를 이용한 작품들인 편인데 진한 잿빛 표지에 전혀 귀엽지 않은 로보트 하나가 새겨져 있고, 뒷표지엔 자동차 폐차장이 새겨져 있다. 표지만 보고도 암울한 느낌이 절로 든다. 이 책의 부제는 "아버지가 들려주는 닷새 밤 동안의 이야기"이다. 그리고 책의 첫장에는 "딸 프리다와 아들 니컬라스에게"란 저자 테드 휴즈의 헌사가 들어 있다. 테드 휴즈가 어머니를 잃은 두 아이들을 위해 지은 동화책인 것이다.
그러던 어느날 어린 소년 호가스의 우연찮은 도움으로 무쇠인간은 덫에 사로잡혀 땅 속에 파묻히게 된다. 무쇠인간은 땅 속에서 다시 일어나 마을 사람들의 농기구를 다시 집어 삼킨다. 마을 사람들은 더이상 참지 못하고 군대를 불러 무쇠인간을 제거할 계획을 세운다. 이때 어린 소년 호가스는 무쇠인간을 사로잡히게 만든 자신이 나서 무쇠인간과 협상을 시도한다. 마을 인근에는 처리곤란한 고철더미가 쌓여 있었는데, 무쇠인간에게 이 고철들을 먹도록 하자는 계획이었다.
이 책의 표지부터 시작해서 본문의 삽화까지 어째서 이토록 암울한 색채와 느낌을 주는가 했더니 다루고 있는 내용 자체가 환경 오염과 전쟁으로 인한 지구 파괴에 대한 경고를 담고 있기 때문이었다. 그렇다고 해서 이 책이 제시하고 있는 전망이 모두 암울한 것은 아니다. 결국 인간 소년과 우정을 나눈 무쇠인간의 기지와 소년의 용기가 합쳐져 우박천룡과 싸움에서 승리를 거두기 때문이다(결국 트레일러 짓을 함...흐흐). 이 책의 저자 테드 휴즈는 제2차 세계대전이란 암울한 전쟁을 겪었고, 이 책이 한창 처음 발표된 1968년엔 미국과 소련이 세계 패권을 놓고 치열한 각축전을 벌이던 시기였다. 그들은 쿠바에서, 아프리카에서 그리고 베트남 정글에서 맞붙었고, 수많은 사람들이 목숨을 잃었다. 이 책에 등장하는 우주에서 날아온 괴수조차 지구상에서 연일 벌어지는 전쟁의 소음으로 인해 날아왔다고 말한다.
무쇠인간과의 힘겨루기에서 패배한 우박천룡은 본래의 본성을 찾아 우주에 있는 자신의 별자리를 찾아가 지구의 무쇠인간과 소년 호가스를 위해 노래를 부른다. 아마도 테드 휴즈는 자신의 아이들에게 보다 평화로운 세상을 물려주고 싶은 소원을 가지고 있었을 것이다. 그건 비단 아버지 테드 휴즈만의 소망이 아니라 이 지구상에 살아가고 있는 모든 아버지, 모든 어머니의 소망이기도 하다(우울한 소식 한 가지는 실비아 플라스와 테드 휴즈가 사랑했던 아들 니콜라스가 지난 2009년 3월 47세의 나이로 우울증을 앓아오다가 결국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는 소식이다. 그는 한때 알래스카 주립대에서 해양학과 교수로 재직했는데 대학을 그만두고 자신의 집에 도예작업실을 차려놓고 제2의 인생을 시작하려던 참이었다).
- 실비아 플라스와 테드 휴즈 부부가 그의 부모들과 함께 보낸 단란한 한 때, 이때만 하더라도 이들 부부에게 닥쳐올 불행을 미처 예감하지 못한 듯 싶다.(1956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