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표 시인 초간본 총서 | 열린책들(2004)
한국 대표 시인 초간본 총서 - 전20권
김광균 | 김기림 | 김소월 | 김영랑 | 박남수 | 박목월 | 백석 | 오장환 | 유치환 | 윤동주 | 이육사 | 임화 | 정지용 | 조지훈 | 한용운 | 박두진 | 이용악 | 김상용 | 김억 | 김창술 (지은이) | 열린책들(2004)
위에서 언급하고 있는 시인 18인은 우리 문학사를 다루고 있는 책이라면 어느 책이든 빼놓지 않는 이들의 이름이다. 그러나 정작 이들의 시집을 찾아 읽는 일은 쉽지 않다. 그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우선 낯익음이 주는 게으름이 이들의 시집을 읽지도 않은 체 이미 다 아는 양하게 만들기 때문이고, 다른 하나는 이들의 시집은 주로 선집 혹은 전집 그도 아니면 여러 시인들을 한데 묶은 편집판본들이 허다하게 널린 탓이다.
우리는 문학 수업 시간에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적 개인시집으로 소월의 스승이기도 한 김억의 시집 "해파리의 노래"라고 배웠다. 이 시집은 모두 164쪽으로 1923년 조선도서주식회사에서 간행되었다. 책의 첫머리에는 춘원 이광수(李光洙)와 지은이의 서문이 있고, 총 83편의 시를 9장의 구분으로 나누어 싣고 있다. "열린 책들"에서 출간된 김억의 시집 "해파리의 노래"를 살펴보니 틀림없이 내가 배우고 알고 있는 김억의 초판본의 수록 형태와 내용을 빠짐없이 담고 있었다. 춘원은 이 시집의 서문에서 "인생에는 기쁨도 많고 슬픔도 많다. 특히 오늘날 흰옷 입은 사람의 나라에는 여러가지 애닮고 그립고, 구슬픈일이 많다. 이러한 <세상살이>에서 흘러나오는 수없는 탄식과 감동과 감격과 가다가는 울음과 또는 우스꽝과, 어떤 때에는 원망과 그런 것이 시가 될 것이다. 흰옷 입은 나라 사람의 시가 될 것이다. .....<중략>..... 어디 해파리, 네 설움, 네 아픔이 무엇인가 보자." 라고 말한다.
이렇듯 이 총서는 우리 문학사의 중요한 시기이면서 상대적으로 접근하기 어려웠던 시기의 시인 18명의 시집 20권을 초간본 형태의 원형 그대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런 기획 자체는 앞으로도 더욱 많아지길 희망하게 되는 그런 류의 것임에 틀림이 없다. 그러나 이 책의 장점은 이 책의 단점이기도 하다. 만약 원형 그대로의 초간본 형태를 보여준다면 일반 독자들은 과거의 맞춤법에 따른 이 시집들을 읽기 어려울 것이다. 그런 탓에 총서기획자들은 보다 대중적인 시집으로 읽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 시집의 맞춤법과 문장 형태를 현대적인 것으로 개작하였으리라. 어떤 의미에서 보자면 이것은 매우 합리적이고, 대중을 위한 배려이다. 그러나 연구자료로서 이 책을 기대했던 문학연구자들의 입장에서 보자면 이 책은 이전에 출판되었던 다른 시집들과 변별점을 찾기 어렵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