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가 4인이 바라본 전쟁의 표면 - 성남훈, 이상엽, 이성은, 노순택 ▲ 보스니아, 사라예보. 1996년. ⓒ성남훈 1992년 시작된 보스니아 내전은 1995년 말 파리에서 열린 ‘데이튼 협정’으로 막을 내리기까지 4년 동안 25만 명이 목숨을 잃었고, 전체 인구 400만 명 가운데 40%가 난민이 되었다. 비록 내전은 끝났지만 스레브레니차에서 암매장된 시신 2만여 구가 발견되는 등 곳곳에서 시신 발굴 작업이 진행 중이다. 보스니아와 마찬가지로 유고연방에서 독립하고자 했던 코소보는 비폭력저항을 계속 했으나 데이튼 평화협상에서 의제로 다뤄지지 못했다. 폭력만이 국제적 관심을 불러일으킨다고 판단한 코소보 해방군 지도자들은 세르비아를 자극했고, 예상대로 세르비아는 무자비한 진압을 강행했다. 1999년 한 해 동안 조직적인 인종 학살과 집단 강간으로 1만여 명이 죽임을 당했고, 86만 명의 난민이 발생했다. 1999년 3월24일부터 6월11일까지 나토(NATO)는 78일간 3만 8,000여 차례 출격해 1만500회의 공습을 퍼부었다. 나토군은 단 한 명의 희생자도 내지 않았으나 공습기간 동안 코소보와 세르비아의 민간인 피해는 급증했다. 전쟁이 끝나자마자 미군은 코소보 남동부에 400만 평의 땅을 빼앗아 군사기지인 본스틸 캠프(Bondsteel Camp)를 건설했고, 인종 학살을 수수방관하던 유럽의 주요 국가들 역시 UN을 등에 업고 트레프차 광산 등 코소보의 국가기간산업을 헐값에 매각하거나 차지했다. "소비되는 전쟁, 사진가들은 왜 무모한 시도를 계속하는가" 다른 한 편, 아프리카의 르완다에서는 1994년 4월 6일 후투족 출신 대통령이 암살당하면서 후투족이 투치족을 무차별학살하기 시작했다. 정부군(후투족)과 반군(투치족)의 갈등이 민간인에 대한 보복 행위로 이어지면서 1994년 4월 9일부터 100일 동안 80만 명이 학살당했다. 보스니아, 코소보 사태 때와 마찬가지로 국제사회는 이를 방관했고, 학살이 잦아진 뒤에야 비로소 UN과 프랑스의 개입으로 르완다는 일시적으로 안정을 되찾았다. 그러나 승리한 투치족 반군 세력을 피해 후투족 정부의 주요 인사들과 3만여 명의 정부군, 르완다 국민 814만 명 중 250만 명이 난민으로 떠돌게 되었다. 이들은 인근의 자이레(현 콩고민주공화국)를 비롯해 우간다, 탄자니아, 부룬디 등으로 피신했으나 부룬디, 자이레 등에서 내전이나 분쟁에 휘말리며 20만 명이 실종되거나 학살되는 등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그렇다면 이와 같은 연도 표기와 지명, 희생자 통계수치가 전쟁의 진실을 알려줄 수 있는가. 로저 펜톤이 습판 콜로디온법으로 담아낸 전쟁 영상이 일반 대중에게 보여지기 까지 정확히 반년의 시간이 걸렸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는 전투가 벌어지는 순간, 동영상을 통해 좀더 적나라한 전쟁의 모습을 확인한다. 그렇다고 우리가 1854년의 대중들보다 전쟁의 진실에 좀더 가까이 다가갔다고 믿는 것은 착각이다. 그 시절의 대중들과 마찬가지로 우리 앞에는 언제나 TV 모니터와 현장이라는 도저히 건너뛸 수 없는 간극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동시대, 같은 순간을 바라본다 하더라도 우리는 학살당하는 자와 그것을 지켜보는 자라는 간극을 극복할 수 없다. 죽은 자들과 죽어가는 자들 그리고 곧 죽을 자들의 모습을 담은 영상은 오늘날 차고 넘친다. 로버트 카파는 “종군기자란 전쟁의 내장을 세계 인류 눈앞에 드러내 보이고, 지구상에서 그것을 없애기 위해 어떻게 하면 좋을까를 한 사람 한 사람에게 캐묻는 것이다”라고 말했지만 오늘날 전쟁의 내장은 그 어느 때보다 속속들이 파헤쳐지고 있다. 우리에게 전쟁은 스펙타클한 세계의 일부로서 소비될 뿐이며, 그로인해 총성은 멈추지 않는다. 어쩌면 우리가 바라보는 모든 전쟁은 표면일 뿐이다. 그런데 어째서 사진가들은 여전히 전쟁의 진실을 담아내려는 무모한 작업을 계속하는 것일까? "절망에 직면한 '사진'이 책임질 것은 아직 남아 있다" 아도르노는 1951년 자신의 저서 『문화비판과 사회』에서 “아우슈비츠 이후에는 더 이상 시를 쓸 수 없을 것이다”라고 말했지만, 인간들은 아우슈비츠의 진실 이후에도 여전히 시를 쓰고 있다. 죽이는 행위는 죽는 인간만 시체로 변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죽이는 인간조차 다른 인간으로 변화시킨다. 그 같은 변화의 이면에서 우리는 우리를 대신하여 그 자리에 서 있었던 한 명의 인간, 사진가가 바라보고, 재현한 한 장의 사진을 통해 전쟁의 진실을 상상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영구전쟁’이라는 참혹한 현실 앞에 서있는 성남훈의 사진들은 우리가 예상하는 것처럼 참혹하지 않다. 이것은 학살과 기아를 저지할 수 없었던, 거듭 반복되는 우리들의 무기력과 무력함을 반영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어쩌면 이것이 적나라한 참혹보다 더욱 진실에 가까운 슬픔일 것이다. 우리는 그 적나라함을 대신해 젤라틴 프린트의 저 편에서 일어난 참혹한 현실의 체험을 상상적으로 재구성(restructure)해야만 한다. ▲ 보스니아, 사라예보. 1996년 ⓒ성남훈 우리는 어째서 이것을 성남훈의 사진을 통해 재구성해야 하는가? 나는 그 까닭을 다시 아도르노의 말을 인용하여 설명하고 싶다. 아도르노는 “절망에 직면해 있는 철학이 아직도 책임져야 할 것이 있다면 그것은 오직 사물들을 구원의 관점에서 관찰하고 서술하려는 노력이 아닐까 한다. 인식이란 구원으로부터 지상에 비추어지는 빛 외에는 어떠한 빛도 가지고 있지 않다”고 말한다. 이 말에서 철학을 성남훈의 사진으로 바꾸어보자. 15년간 고통스러운 현장을 찾는 두려움과 의문, 외로움 속에 항해를 계속해온 성남훈의 외눈박이 행위는 사실 ‘동무여 이제 바로 보마’라는 김수영의 시론과 닮아있다. 학살이 계속되듯 삶 역시 지속된다. 비록 우리가 직면한 현실이 절망일 뿐이더라도 우리는 바로 보려는 노력을 게을리 할 수 없다. 다만, 바로 보는 일의 주체는 사진가만의 몫이 아니라 우리의 몫이기도 하다. 그것은 참혹하지 않아서 아니, 도리어 아름답기까지 하여 더욱 참혹한 사진 앞에서 잠시 멈춰서는 일, 표면의 저 너머에서 들려오는 소리에 귀를 기울이는 일에서 시작된다. 전성원 (계간 황해문화 편집장) 출처 : <전. 쟁. 표. 면.> 展에 쓰인 글 이 글은 프레시안(http://www.pressian.com) 에 "이제 사진이 던지는 질문에 답할 때"라는 제목으로 "2007-05-04 오전 11:15:24"에 다음과 같은 편집자 주와 함께 게재되었습니다. 사진은 갈 수 없는 곳의 풍경을 전해준다. 전세계 곳곳에서 벌어지는 전쟁에 관해서도 우리는 몇 장의 사진을 보며 상황을 짐작한다. 그러나 '사진가에 의해 선택된 특정한 시간과 공간'에 놓인 그 사진들이 생사가 오가는 전쟁의 실상을 말해줄 수 있을까. 지난 2일부터 오는 31일까지 서울 인사동 평화공간 스페이스피스(SPACE*PEACE)에서 진행되는 사진전 <전. 쟁. 표. 면>은 이 같은 물음에서 출발한다. 성남훈, 이상엽, 노순택, 이성은 등 다큐멘터리 작가로 널리 알려져 있는 사진가 4인이 각기 다른 전쟁을 다룬 작품을 내놓았다. 이들은 전시에 앞서 "보이지 않는 것은 필름에 담기지 않는다"라며 사진이 가진 한계를 고백했다. 그러나 이들은 "다만 사진은 그 표면 뒤에 숨은 내면에 대해 우리에게 묻고 있다"며 "죽은 자의 모습에서 그를 죽인 자를 짐작할 수 있듯 우리는 사진을 통해 전쟁이 벌어진 이유와 전쟁의 참극, 그리고 모순을 발견할 수 있지 않을까"라고 물었다. 관객들은 이번 전시에서 보스니아 전쟁(성남훈의 'Made in Man'), 실크로드 고대 전쟁(이상엽의 '고대 전쟁의 흔적, 생태 혹은 문명 사이에서'), 한국전쟁 민간인 대학살(이성은의 '경산 코발트 폐광 대원골 유해 발굴 현장, 2005'), 5.18 광주민중항쟁(노순택의 '망각 기계') 등 4개의 전쟁을 접하게 된다. 특히 각 작가들이 다룬 전쟁에 관한 전문가들의 기고가 작품과 함께 전시돼 관객들의 이해를 돕는다. 전성원 <황해문화> 편집장, 문건영 변호사, 노용석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조사관, 김태현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큐레이터가 필자로 참여했다. <프레시안>은 이 중 보스니아 전쟁을 다룬 성남훈 작가의 작품에 관해 쓴 전성원 <황해문화> 편집장의 글을 소개한다. 전 편집장은 '영구전쟁'이라는 참혹한 현실 앞에 서 있는 성남훈의 사진들은 우리의 예상처럼 참혹하진 않다"며 "이것은 학살과 기아를 저지할 수 없었던, 거듭 반복되는 우리들의 무기력과 무력함을 반영하고 있는지도 모른다"고 밝혔다. 그는 "그것이 어쩌면 적나라한 참혹보다 더욱 진실에 가까운 슬픔일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편집자> 오는 31일까지 계속되는 이번 전시에 관한 보다 자세한 사항은 평화박물관 건립추진위원회 홈페이지(www.peacemuseum.or.kr)에서 알 수 있다. 오는 12일에는 '작가와의 대화'도 마련될 예정이다. |
'LITERACY > 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상은 속고 싶어 한다(Mundus vult decipi)- 2007년 08월 03일자 <경인일보> (0) | 2010.11.13 |
---|---|
배다리 프로젝트가 필요하다 - 2007년 07월 06일자 <경인일보> (0) | 2010.11.12 |
바나나와 문화다양성 협약 - 2007년 06월 08일자 <경인일보> (0) | 2010.11.12 |
우리시대 아버지의 초상 - 2007년 05월 11일자 <경인일보> (0) | 2010.11.12 |
부평 얼짱 윤주현을 아십니까? - 2007년 04월 13일자 <경인일보> (0) | 2010.11.12 |
뉴미디어 시대의 청소년문학- 오늘의 청소년들은 무엇을 읽는가(계간 <청소년문학>, 2006년 가을호) (0) | 2010.11.05 |
포토저널리스트 로버트 카파의 삶과 작품세계 - <시네21>. No. 597호 (0) | 2010.11.04 |
한미FTA, 그만두기 바라노라 - 2007년 03월 16일자 <경인일보> (0) | 2010.11.02 |
魂이 없는 명품도시엔 시민도 없다 - 2007년 02월 16일자 <경인일보> (0) | 2010.11.02 |
이 모든 무수(無數)한 반동(反動)이 좋다 - 계간 『황해문화』, 2007년 봄호(통권 54호) 권두언 (0) | 2010.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