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TERACY/WORK

이 모든 무수(無數)한 반동(反動)이 좋다 - 계간 『황해문화』, 2007년 봄호(통권 54호) 권두언

이 모든 무수(無數)한 반동(反動)이 좋다*

버드 비숍여사(女史)를 안 뒤부터는 썩어빠진 대한민국이
괴롭지 않다 오히려 황송하다 역사(歷史)는 아무리
더러운 역사(歷史)라도 좋다
진창은 아무리 더러운 진창이라도 좋다
나에게 놋주발보다도 더 쨍쨍 울리는 추억(追憶)이
있는 한 인간(人間)은 영원하고 사랑도 그렇다
― 김수영, 「거대한 뿌리」 중에서


입춘 지나 따뜻한 남쪽에는 철모르는 목련이 피었다는 소식을 듣는 깊은 밤, 문득 일어나 김수영의 「거대한 뿌리」를 읽는다. 시인 김수영(金洙暎, 1921. 11. 27~1968. 6. 16)은 밤새 술을 마시고 깨어나는 아침, 뱃속으로 시냇물이 졸졸 흘러가는 그 느낌을 사랑했던 시인이었다. 그는 공복상태에서 오는 정신의 맑음, 답답했던 머릿속을 헤집고, 맑은 물이 담긴 세숫대야에 한 두 방울씩 떨어지는 핏물처럼 비록 피를 흘린다한들 그 순간의 상쾌함, 정신의 맑음을 흠모한 시인이었다. 시인의 삶 속에는 우리 현대사의 격렬한 순간들이 많았다. 그는 일제 치하에서 태어나 자랐고, 한국전쟁을 겪었고, 다시 이승만 독재 시절을 거쳐 4·19혁명을 겪는다. 그가 4·19를 경험하며 얼마나 가슴 뿌듯한 희열로 가득 찼었는지에 대해서는 많은 증언들이 있다. “혁명은 안 되고 나는 방만 바꾸어 버렸다”던 그가 1964년에 쓴 시가 「거대한 뿌리」다. 지금 그가 살았다면 우리 어깨에 손을 얹고 저리 노래해주지 않았을까 싶다.

지금으로부터 20년 전 1987년에는 두 개의 대한민국이 있었다. 80년 광주를 통해 정권을 잡았고 남영동 밀실에서 젊은 대학생의 목숨을 아무렇지 않게 앗아간, 얼어붙은 겨울공화국이 있었고, 겨울의 엄혹한 추위 속에서 공화국의 대의와 민주주의를 위해 새로운 봄을 준비하는 대한민국이 있었다. 아니, 어쩌면 그것은 우리들의 희망 속에만 존재했던 대한민국인지도 모른다. 그러나 현실과 희망 속에 놓인 서로 다른 두 개의 대한민국이 지닌 엄청난 간극, 비동시성은 1987년 6월의 극적인 균열을 만들어냈다. 거리를 뒤덮었던 87년의 기억은 오래갈 수 없었다. 6·29선언을 통해 균열은 순식간에 봉합되었고, 사람들은 다시 평온한 일상으로 돌아갔다. 희망의 공간을 꿈꾸었던 이들은 외톨이가 되었다.

87년을 혁명으로 규정할 것인가? 이에 대해서는 편집위원회 내부에서도 의견이 엇갈렸다. 역사적으로, 학문적으로 규정하기에 앞서 그날은 왔지만, 너무도 빠르게 날 새버린 그날을 추억하는 것만으로도 마음이 편치 않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87년과 그 후 20년 세월 동안 우리 사회는 극적인 변화를 경험한 것이 사실이다. 변화는 정치뿐만 아니라 사회 거의 모든 분야에 걸쳐 이루어졌다. 대통령 직선제를 통한 평화적 정권교체, 문민정부 수립, 과거사 청산 작업이 진행되었고, 진행 중에 있다. 그러나 87년 혁명은 그것이 의도했든 그렇지 않든 대한민국 자본주의를 재탄생시키는 결과를 가져 왔다. 이 같은 결과가 초래된 것은 87년 혁명이 지닌 근본적인 한계에서 기인한다. 4·19혁명이 시민혁명이기보다는 학생혁명의 성격이 짙었던 한계가 있었던 것처럼, 87년 혁명은 시민혁명, 즉 본질적 혁명이기 보다는 체제개혁을 위한 부르주아 민주주의 혁명이었기 때문이다.

87년 6월 항쟁의 열기가 식고, 그해 7월부터 9월까지 이른바 ‘노동자 대투쟁’이 벌어졌다. 석 달여 동안 3,300여 건의 노동쟁의가 발생했고, 120만 명의 노동자가 참가한 것으로 알려진, 이 투쟁은 건국 이래 최대 규모의 집단적인 저항운동이었고, 노동운동의 역사를 하루에 1년씩 뛰어넘는 대단한 사건이었다. 87년의 노동자 대투쟁은 3저 호황 속에서 살인적인 노동시간과 30년 가까운 세월 동안 기본권조차 보장받지 못한 저임금노동에 따른 필연이었다. 그러나 이 같은 투쟁도 정치와 결합하지 못했고, 임금인상과 노동조건 개선이라는 분배투쟁에 종속되고 말았다.

냉전이라는 세계체제 속에 살아가면서도 막상 세계체제의 변화에는 둔감했던 진보세력은 87년 이후 시민사회단체란 이름으로 변모하면서 이제 80년대 기동전의 시대는 끝났고, 자본과의 대결은 진지전으로 펼쳐야 한다고 말했다. 80년대의 청년지식인들은 일제히 운동권이라 호명되면서 ‘체제’의 젊은 피가 되거나 진지로 스며든 적과 동침하며 새로운 미래를 의논했다. 동지는 간 데 없고, 휘날리는 깃발엔 기업하기 좋은 나라, 국가경쟁력, 시장만능주의란 문구만 적히게 되었다. 87년 이후 변화와 혁신은 더 이상 진보의 구호가 아니었다. 경영혁신, 기술혁신, 품질혁신, 인재혁신이라는 변화된 자본주의의 “마누라와 자식만 빼고 다 바꾸라”는 고용불안정에 내몰리는 동안 노동하는 주체는 사라지고, 몸과 노동력 외에 팔 것 없는 노동자임에도 너도나도 자기 계발에 앞장서는 프로페셔널 자기경영가들로 탈바꿈했다. 모두가 비즈니스 마인드로 무장한 무한경쟁의 글로벌 스탠더드로 내달리는 동안 800만 비정규직 노동자에게는 눈길 한 번 주어지지 않았다.

이제 우리는 87년을 기념하고, 추억할 것인가? 하지만 그것은 더 이상 새로운 혁명, 배회하는 유령은 존재하지 않을 것이라는 추도와 안도 속에서 살아있는 정신에 못질을 하는 것이다. 역사는 아직 종료되지 않았으며, 현재의 위기는 마지막 위기가 아니라 다만 가장 최근의 위기일 뿐이다. 『황해문화』가 두 차례에 걸쳐 기획한 <87년 ‘혁명’, 그 후 20년>은 87년을 기념하기 위한 기획이 아니다. 우리는 87년 체제에 살고 있는 것이 아니라 87년 이후 등장한 새로운 위기 속에 살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위기 속에서도 “썩어빠진 대한민국이 괴롭지 않다 오히려 황송하다.” 우리는 87년 때문에 현재의 위기에 빠진 것이 아니라 87년 덕분에 다음 단계의 위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4·19를, 87년 6월을 혁명으로 부르든 그렇지 않든 이제 우리 앞에 주어진 책무는 자명하다. 앞서의 실패를 성찰하고, 새로운 실천을 조직해내는 것, 그것이 낯선 미래가 기다리는 우리의 몫이다.


- 계간 『황해문화』, 2007년 봄호(통권 54호) 권두언
* 김수영, 「거대한 뿌리」 중에서 차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