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OESY/한국시

김수영 - 그 방을 생각하며

그 방을 생각하며

- 김수영

혁명은 안되고 나는 방만 바꾸어버렸다
그 방의 벽에는 싸우라 싸우라는 말이
헛소리처럼 아직도 어둠을 지키고 있을 것이다
나는 모든 노래를 그 방에 함께 남기고 왔을 게다
그렇듯 이제 나의 가슴은 이유없이 메말랐다
그 방의 벽은 나의 가슴이고 나의 사지일까
일하라 일하라 일하라는 말이
헛소리처럼 아직도 나의 가슴을 울리고 있지만
나는 그 노래도 그 전의 노래도 함께 다 잊어버리고 말았다

혁명은 안되고 나는 방만 바꾸어버렸다
나는 인제 녹슬은 펜과 뼈와 광기―
실망의 가벼움을 재산으로 삼을 줄 안다
이 가벼움 혹시나 역사일지도 모르는
이 가벼움을 나는 나의 재산으로 삼았다

혁명은 안되고 나는 방만 바꾸었지만
나의 입 속에는 달콤한 의지의 잔재 대신에
다시 쓰디쓴 냄새만 되살아났지만

방을 잃고 낙서를 잃고 기대를 잃고
노래를 잃고 가벼움마저 잃어도

이제 나는 무엇인지 모르게 기쁘고
나의 가슴은 이유없이 풍성하다

(1960)

*

"혁명은 안되고 나는 방만 바꾸어버렸다"라는 첫 구절의 유명세에 비하여 전문을 다 인용되는 경우는 드문 김수영의 시 "그 방을 생각하며"를 옮겨봤다. 역시 첫 구절이 주는 강렬함이 드세다. 그 방에는 "싸우라", "일하라"라는 말이 있다. 그러나 그것들은 죄다 헛소리 혹은 헛소리 같이 공허한 것들이다. 그리고 시인은 그 노래들 - 싸우라, 일하라 - 라는 구호들을 이전의 구호들처럼, 아니 이전의 노래들처럼 잊어버렸다.

그리고 다시 첫연의 구절을 두 번째 연에서 반복한다. 시인이 현재 소유하고 있는 것은 녹슨 펜, 앙상하게 남은 뼈, 그리고 표독한 광기, 그리고 가벼운 실망이다. 그런데 시인은 이를 "역사일지도 모르는"이라고 말한다. 이 순간 가장 중요한 말은 "역사란 무엇인가?"하는 정의이다. 역사를 묵직함으로 받아들일 수도 있고, 개인적인 체험의 연속, 낙망의 연속으로 받아들일 수도 있다. 역사의 정의는 무수하나 역사란 기본적으로 흘러간 과거를 말한다. 그에게는 이번이 처음의 실망도, 낙망도 아니다. 그런 탓에 펜은 녹슬어 버렸다. 그것을 한탄만 하고 있다면 이 시는 그저 그런 재미없는 시가 되고 말았을 것이다.

시인은 3연에 와서 1,2연에서 반복했던 구절을 교묘하게 비튼다. "혁명은 안되고 나는 방만 바꾸었지만" 그의 입속에는 의지의 잔재 대신에 쓰디쓴 냄새만 되살아났다. 구취(口臭)! "bad breath" 그는 방, 낙서, 기대를 잃었고, 노래를 잃고, 가벼움도 잃었다. 그럼에도 시인은 무엇인지 모르게 기쁘고, 가슴은 이유없이 풍성하다. 이런 낙망한 순간이 있는가? 시인이 구체적으로 그것이 무엇인지 말해주지 않으니, 읽는 나도 그게 대관절 무슨 말인지 알아챌 수가 없다. 하기사 시를 쓴 본인 스스로도 모른다 하지 않던가?

이럴 때 제목은 이 시 전체를 암시해준다. 시 제목이 무엇이던가? "그 방을 생각하며"가 아닌가.
시인은 방, 낙서, 기대, 노래, 가벼움을 잃었다. 그러나 그것들은 현재의 일이 아니라 과거의 일이다. 그래서 시인은 제목도 "그 방을 생각하며"라고 지었다. 그는 혁명을 꿈꾸었으나 방만 잃었다, 방만 잃은 것이 아니라 그와 관계되는 온갖 허접한 것들을 잃었다. 그런데 그 방에서 나와 그 방을 생각해보니 이 모든 것이 허접이었다. 버림받은 것인지, 버려진 것인지 모르겠으나 시인의 가슴이 이유없이 풍성한 까닭은 그것이다.

시인은 이제부터 자유다. 까닭이 있는 것은 대항할 구체적인 대상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무엇인지 모르고도 기쁠 수 있다는 것은 구체적인 대상이나 현상이 현재로서는 타개된 것을 의미한다. 이유없이 풍성하다는 것은 그를 옭죄던 현실의 무게로부터 그가 자유로와질 수 있다는 심리적 상태를 의미한다. 이 시가 1960년에 쓰였으므로 이 시에 대해 역사적 현실을 찾아내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다. 비록 혁명은 안 되었으나 그는 방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