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퍼 로봇의 혼 - 선정우, 시공사(2002)
나는 지금도 종종 프라모델숍 앞을 지날 때면 가던 걸음을 멈추고 유리창 안을 멍청하게 들여다 보는 버릇이 있다. 왜냐하면 그곳엔 어린 시절의 내가 머물고 있기 때문이다. 저녁 먹는 것도 잊어먹을 만큼 열광했던 TV 만화영화들 가운데서도 단연 첫손에 꼽을 수밖에 없는 원형질적인 작품을 들라하면 "마징가Z"일 것이다. 우리나라 TV에서 만화영화를 최초로 방영한 것은 1964년 8월의 일이다. 이때 처음 방영된 만화영화는 물론 외국 것으로 "개구장이 데니스"였고, 우리나라에서 최초의 장편 만화영화가 만들어져 극장에 내걸린 건 신동헌 감독의 "홍길동"으로 1967년 1월의 일이었다.
우리나라 TV에서 일본 만화영화가 방영되기 시작한 것은 1968년 10월 "요괴인간"이 방영되기 시작하면서부터였는데, 이후 일본 만화영화가 공중파 방송을 통해 방송되기 시작한다. 이후로도 여러 편의 일본 만화영화들이 방송되었지만, TV에서 방영된 일본 만화영화의 대명사는 아직까지 누가 뭐래도 "마징가Z"와 "캔디"였다. 선정우의 "슈퍼 로봇의 혼"은 바로 이때의 세대들이 성장하여 그 무렵 보았던 일본 만화 영화 그 가운데서도 "슈퍼 로봇" 계열 애니메이션 작품들에 대한 재발견을 담고 있는 책이다. "캔디"가 소녀들을 위한 순정만화영화, 멜러 드라마의 대명사라면, "마징가Z"는 소년들을 위한 일종의 액션 로망이라 할 수 있다.
선정우 씨는 PC통신 시절부터 이 방면의 고수로 활동해 온 바 있다. 우리는 지난 90년대 초반 서태지의 등장을 하나의 문화적 코드로 인식한다. 그 바탕엔 자신이 좋아하는 분야를 스스로 공부하여 개척해낸 사람의 의미도 있을 것이다. 기존의 시스템 속에선 아무도 주목하지 않았지만 스스로 좋아한 까닭에 깊이있게 파고 들어 그 방면에 전문가가 되는 것 말이다. 선정우와 같은 역할을 하는 이를 어떤 의미에선 우리 문화의 파이어니어로 보아도 좋지 않을까? 나는 이 책을 읽으며 그런 생각이 들었다. 어떤 이들은 우리에게 일본만화를 소개하는 것이 우리 문화의 개척자와 무슨 상관이 있는가하며 반문할지도 모르지만, 오늘날 우리가 누리는 한류란 일방적인 흐름이 아니라 우리가 일본을 아는 만큼 상대적으로 더욱 강화되는 것이라 생각한다. 그 실례로 이젠 만화에도 한류 바람은 서서히 시작(미국 만화 시장의 5%를 한국만화가 차지)되고 있으며, 선정우 씨 역시 그 가운데 서 있다는 것을 들 수 있다.
그렇다면 슈퍼로봇이란 무엇인가? 로봇(robot)이란 말이 1920년 체코슬로바키아의 작가 K.차페크가 희곡 "로섬의 인조인간(Rossum’s Universal Robots)"에서 유래되었단 사실은 더이상 새로울 것이 없는 내용이다. 이를 예술작품에 응용하여 가장 크게 성공한 장르는 아마도 만화영화일 것이다. 만화영화, 특히 일본의 아니메 작품들은 성과 액션이란 대중문화의 양대 엔터테인먼트적 요소를 자유자재로 이용한다. 그 가운데 액션이란 측면에서 로봇은 가장 중요한 소재로 사용되었다. 그런 로봇물 가운데 슈퍼 로봇이란 명칭은 건담류의 작품이 출현하면서 이에 대한 상대적인 개념으로 쓰인 듯 싶다. 왜냐하면 건담이란 리얼 로봇이란 컨셉으로 인기를 얻으며 이전의 거대로봇물들을 "슈퍼 로봇"이라고 통칭한다.
선정우는 부천만화정보센터에서 큐레이터로 근무했던 이력을 갖고 있긴 하지만 그보다는 자생적 만화 매니아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은 저자가 그간 여러 잡지와 PC통신 게시판을 통해 발표했던 글들 가운데 '슈퍼 로봇'에 관련된 글을 모아 한 권의 책으로 엮은 것인데, "슈퍼 로봇"이란 명칭 자체가 로봇의 슈퍼파워보다는 슈퍼 덩치에 의한 것이므로 "아톰"과 같이 우리에게 낯익은 캐릭터는 빠져 있다. 이 책은 소년의 원초적 로망이랄 수 있는 '마징가 Z' 로부터 시작해서 70년대말 어린이잡지에 연재되다 중도에 사라져 많은 아쉬움을 남겼던 '겟타 로보', 소년이 조종기로 거대로봇을 조종한다는 컨셉으로 인기를 끌었던 "철인28호"와 같은 컨셉의 '자이언트 로보', 안노 히데아키 그룹의 재패니메이션 리바이벌 모음집이랄 수 있는 '톱을 노려라!'를 중심으로 일본 아니메의 한 조류라 할 수 있는 거대로봇들을 소개하고 분석한다.
그 가운데에는 그간 우리가 잘 알지 못했거나 흘려넘긴 부분들 예를 들어 '마징가 Z'에 등장한 악당 캐릭터 가운데 지금까지 우리의 뇌리에 선명하게 남아있는 아수라 백작이 사실은 백작이 아니라 남작이었으며 그녀 혹은 그놈(반남반녀의 캐릭터였음)이 죽은 뒤 헬 박사가 백작으로 승격시켜준 것이라는 내용들이 그것이다. 이외에도 재미난 부분들로는 거대로봇물이 어떻게 아동용 완구 메이커인 반다이와 결합하여 합체변형로봇으로 변화되는가? 어째서 거대로봇물 영화들은 어린이들의 방학 기간과 때맞춰 극장에서 개봉되는지 등을 다룬다. 이 책의 분석 가운데 가장 재미있는 내용은 마징가Z가 여성형 로봇(가슴에서 미사일이 발사된다) 아프로다이 에이스와는 물론 때론 미네르바 X와도 데이트를 즐겼다는 내용이다.
이 가운데 저자가 가장 힘주어 주장하는 바는 리얼로봇 매니아들의 주장처럼 '슈퍼 로봇' 혹은 '거대로봇'이 비과학적이고, 비상식적인 작품들이 아니라 나름대로 진지하게 시대상을 반영하고 있으며, 그 가운데에는 우리가 미처 생각하지 못한 파격적인 상징들도 내포되어 있었음을 밝히는 것이다. "마징가Z"와 "그랜다이저"에 동성애 코드가 숨겨져 있다는 분석은 참신하면서도 그 분석에 동의하지 않을 수 없게 만든다.
우리는 지난 해 욘사마와 지우히메 열풍에 휩싸여 일본 내 한류 바람을 다소 민족주의적 흥분으로 바라보았다. 따지고 보면 한류와 일류, 그리고 중류라 할 수 있는 동아시아 삼국(이 경우 베트남, 태국, 인도네시아 등은 배제되긴 하지만)의 교류 역사는 반만년의 역사라 할 수 있는 것이지, 어느날 갑자기 어느 한 국가에 의해 좌우되거나 지배하고, 지배당하는 문화가 아닐 것이다. 이런 교류의 역사를 근대만의 것으로 한정해서 바라볼 때 우리의 문화관은 협소하고 편협한 민족주의적 감정에 휩싸일 수밖에 없고, 진정한 한류, 진정한 문화교류는 점점 더 멀어지게 될 것이다. 언젠가 일본에서 바라본 한국 문화 그리고 만화에 대한 이렇듯 진지하고 재미난 탐구 서적들이 역으로 수출되는 일들이 벌어지는 것도 과히 나쁘지 않은 일이라고 감히 생각해본다.
* 참고로 이 책은 올칼라다. 물론 일본 만화 영화, 거기에 거대로봇물에 별로 흥미가 없는 이들이 본다면 그다지 재미없는 책일 수도 있겠다. 하지만 책이 다루고 있는 아니메들과 함께 본다면(DVD로 출시된 것들이 상당수 된다) 재미는 배가될 거다.
'REVIEW > 만화/애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를 기르다 - 다니구치 지로 지음 | 박숙경 옮김 | 청년사(2005) (0) | 2011.06.20 |
---|---|
안전지대 고라즈데 - 조 사코 지음 | 함규진 옮김 | 글논그림밭(2004) (2) | 2011.06.02 |
이것이 일본 만화다 - 프레드릭 L.쇼트 | 김장호 외 옮김 | 다섯수레 (1999) (0) | 2011.04.08 |
안노 히데아키 - 건버스터 : 톱을 노려라 (0) | 2011.03.29 |
바람계곡의 나우시카(전7권)- 미야자키 하야오 | 학산문화사(2010) (0) | 2011.03.21 |
도박묵시록 카이지(총 39권) - 후쿠모토 노부유키 | 학산문화사 (1) | 2011.02.10 |
마스터 키튼 세트(1~18) - 우라사와 나오키 그림 | 가쓰시카 호쿠세이 스토리 | 대원씨아이(2004) (3) | 2011.01.21 |
바나나 피시 Banana Fish - 요시다 아키미 | 김수정 옮김 | 애니북스(2009) (0) | 2011.01.18 |
공룡둘리에 대한 슬픈 오마주 - 최규석 | 이미지프레임(길찾기) | 2004 (0) | 2011.01.17 |
남쪽손님 : 보통시민오씨의 548일 북한체류기 -상.하 | 오영진 | 이미지프레임(길찾기) | 2004 (1) | 2011.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