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OESY/한국시

박재삼 - 천년의 바람

천년의 바람


- 박재삼



천년 전에 하던 장난을
바람은 아직도 하고 있다.
소나무 가지에 쉴새없이 와서는
간지러움을 주고 있는 걸 보아라
아, 보아라 보아라
아직도 천년 전의 되풀이다.

그러므로 지치지 말 일이다.
사람아 사람아
이상한 것에까지 눈을 돌리고
탐을 내는 사람아.

*

<천년의 바람>은 박재삼 시인의 대표적인 작품 중 하나다. 일본 동경에서 태어나 1955년 <현대문학>으로 등단해 1997년 세상을 등질 때까지 박재삼 시인은 40여 년간의 시작 생활을 통해 '한국의 전통 서정 탐구와 허무의 시학'을 집중적으로 형상화해왔다고 평가받는다. 아마 시인 자신은 이런 평가를 들으면 혼자 조용히 웃을지도 모를 일이다. 시인을 한국의 전통서정과 허무의 시학이라고 하지만 내가 볼 때는 생각이 조금 다르다. 한국의 전통서정은 사실 허무와 잘 연결되지 않기 때문이다. 한국 사람들의 전통 서정을 살필 때 우리들은 허무에 빠지기 쉽지 않아 보인다. 한국의 전통 서정을 이야기할 때마다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말이 '한(恨)'이란 말이지만 사실 한국의 '한'이란 그냥 원망의 정조라 하기엔 참 애매하다. 원망이란 하다못해 자기 스스로라도 그 대상으로 삼지 않고서는 성립불가한 감정이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한'이란 정조는 원망과 결정적으로 구분된다. '한'의 정조는 대상이 없어도 성립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한'은 허무의 정조와 연결되는 듯 보인다. 그러나 '한'은 허무와도 다르다. 서양의 '공(0)'은 그야말로 아무 것도 없다는 말이지만 동양의 공(空)은 비어있으므로 채워져 있는 공간이듯 '한'은 허무와 달리 품고 살 수 있으며, 허무와 달리 풀어버릴 수도 있는 것이다. '한'의 정조는 벗어날 수 없는 운명 같은 것이지만 동시에 포용할 수 있고, 풀어낼 수도 있다는 점에서 죽음보다는 삶에 가깝다. 원한(怨恨)이라 하지만 '원(怨)'이란 죽은 사람의 몫이고, '한'은 산 사람이 감당해야 할 몫이다. 우스운 말장난 같지만 이대로 죽어도 여한(餘恨)이 없다는 말이 존재하는 까닭이 거기에 있을 듯 싶다. 죽은 사람에겐 한이 없으며 죽어서 혼령이 되어서라도 풀어야 하는 한은 존재에 대한 것이 아니라 보다 현세적인 것들이다. 귀신이 되어서라도 풀지 않고는 떠날 수 없는 것이 한이란 이처럼 철저히 현세적이며, 삶의 정서다. 한은 슬프기만 한 정조가 아니라 그것을 극복하기 위한 정조이기도 하다. 한국 사람들의 변덕스럽고, 순간적으로 들끓는 정서, 그 밑바탕에 깔려 있는 정조, 제 아무리 서양의 기독교 신앙이 들어왔다 하더라도 밤새워 자신의 영혼을 구원해달란 기도는 못해도 가족의 무병장수와 자식의 입시, 취직에 대한 기도는 그치지 않는 까닭, 한국 사람들은 죽음 이후의 구원보다는 현세의 삶을 너무나 사랑하기 때문이다. 박재삼 시인의 시 <천년의 바람> 속 '바람'은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시지프스'와 같은 존재다. 천년 전에 하던 일을 지금도 하고 있다. '시지프스'는 무의미한 일을 반복하는 허무와 부조리의 상징이지만 바람이 하는 일은 그저 장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지프스 신화와 <천년의 바람>이 들려주고자 하는 이야기는 비슷하다. 아무 의미 없어 보이는 일을 무한반복하는 바람처럼 "그러므로 지치지 말 일"이란 것이다. 무엇에 대해 말인가? "삶"에 대해서 말이다. '한과 샘과 탐'은 기형도가 '질투는 나의 힘'이라고 외쳤듯 한국인들의 삶의 에너지인 듯 싶다. I'm your Energy!



'POESY > 한국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라연 - 너에게 세들어 사는 동안  (1) 2011.03.05
강영은 - 오래 남는 눈  (1) 2011.03.04
정현종 - 가객(歌客)  (1) 2011.03.03
함민복 - 자본주의의 약속  (2) 2011.03.02
구상 - 유치찬란  (1) 2011.02.26
김선우 - 시체놀이  (1) 2011.02.24
신기섭 - 추억  (1) 2011.02.23
강연호 - 월식  (1) 2011.02.22
정춘근 - 라면 여덟 상자  (0) 2011.02.18
함순례 - 벽 안에 사람이 산다  (0) 2011.0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