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VIEW/영화/DVD

샌프란시스코에서 하룻밤 (Dogfight, 1991)

샌프란시스코에서 하룻밤 (Dogfight)

감독
낸시 사보카

출연 리버 피닉스, 릴리 테일러
제작 1991 미국, 89분




낸시 사보카 감독은 뉴욕 주립대를 졸업하고, 단편 영화부터 시작해서 지금은 나름대로 인정받는 여성 인디 감독으로 자리잡고 있다. 그녀의 영화 중에서 내가 본 것은 "샌프란시스코에서 보낸 하룻밤(Dog Fifht)" 한 편에 불과하지만, 이 영화의 잔잔한 시선은 오래도록 날 사로잡았다. 낸시 사보카 감독의 시선 속에 담긴 리버 피닉스는 멋진 반항아도 아니었고, 청춘 스타가 아닌 젊은 배우, 조금은 으쓱대고 싶고, 조금은 내성적인 그런 평범한 청년으로 그려진다. 그리고 나는 그 모습이 청춘의 아이돌이나 소녀 팬들의 히어로로서의 리버 피닉스가 아닌 내가 알고 있는 한 가장 그럴 듯한, 배우로서의 리버 피닉스의 모습, 친근한 리버의 모습이다. 

그리고 이 영화에서 주목해야 할 또 한 명의 배우는 못생긴 로즈 역을 맡았던 릴리 테일러다. 그녀는 "샌프란시스코에서 보낸 하룻밤"부터 "애리조나 드림", "어딕션", "포룸" 등 작품성을 인정받는 작품들을 통해 좋은 연기를 보여왔다. 혹시 사람들은 인정해주지 않더라도 나는 리버 피닉스를 친구처럼 생각한다. 알고 보면 그와 나는 동갑내기다. 우습지 않은가, 평생 미소년으로 남을 그와 늙어갈 나란 사람... 흐흐. 이 작품의 배경을 한국식으로 설명하자면 "대전발 0시 50분"이란 노래로 시작해야 할지도 모르겠다. 공군에 입대하는 이들은 대전에서 출발하는 0시 50분 기차를 타고 입영한다고 했다. 에디(리버 피닉스)는 군 신병 훈련소를 이제 막 나와서 베트남으로 출발하기 위해 샌프란시스코에 도착했다. 

에디의 동기들은 일명 "도그 파이트"라는 게임을 벌이는데, 주변에서 가장 못생긴 여자를 파티장으로 데려오면 승자가 되어 상금을 독식하는 것이다. 남자들이 가지고 있는 환상 중 하나가 "못생긴 여자는 꼬시기 쉽다"라던가... 어쨌든 에디 역시 그가 원해서든 아니면 분위기에 취해서든 도그 파이트 게임에 참가하게 된다. 한국식으로 치자면 이제 막 전장에 투입되기 직전에 벌이는 작취미상의 해꼬지 혹은 깽판에 해당하는 이벤트인 셈이다. 내 친구 중 한 녀석은 입영 전날 술에 취해 주차해 있던 차의 백 미러를 박살내기도 했다. 하여간 에디는 정신없이 샌프란시코 시내 여기저기를 돌아다니며 못생긴 여자를 찾았지만, 막상 그렇게 생긴 여자들을 찾는 것도 쉬운 일은 아니었다.

 

 

그리고 우연히 들어간 식당에서 에디는 못생긴 로즈(나름대로 못생겼다고 할 수도 있지만, 내 눈에 뭐가 씌인 건지 분위기 있어 보였다)를 보고 그녀에게 접근한다. 영화에서 감독 낸시 사보카는 여성 감독 특유(?)의 혹은 여성의 섬세한 시선을 담아내고 있는데, 그 과정이 가장 잘 드러나고 있는 대목은 에디를 선뜻 따라나서지 못하는 로즈의 망설임에 있다. 로즈는 첫눈에 에디에게 끌렸으나 어머니의 식당일을 도와야했고, 내성적인 성격 탓에 에디를 따라나서지 못한다. 그러다 용기를 내어 에디를 따라나서 파티장에 가지만 우연히 이 파티가 여자의 외모를 놓고 벌이는 시합이며, 에디 역시 로즈를 못생겼다는 이유로 선택했음을 알고 큰 상처를 받는다. 로즈는 모두가 보는 앞에서 에디에게 주먹으로 한 방 먹이고 파티장을 빠져나온다.

에디는 자신이 잘못했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었고, 그렇기 때문에 로즈를 파티장으로 데려오고 싶어 하지 않았지만 처음 로즈와 만날 때부터 시작된 잘못이었다. 이런 걸 일컬어 스노우볼이라고 하던가. 에디는 로즈에게 사과를 하고 싶어했고, 이로부터 두 사람의 하룻밤 사랑이 시작되었다. 다음날 아침 로즈는 에디에게 자신의 집 주소를 적어준다. 에디는 해가 뜨는 새벽의 샌프란시스코 언덕을 걸어 집결지로 향한다.(여러 편의 영화를 보았지만 정서적으로 이 날 새벽만큼 공감이 가는 새벽도 드물었다. 멋있었다는 말과는 별개로 말이다.) 에디는 전쟁터로 향하는 버스 안에서 로즈가 준 주소가 적힌 종이 쪽지를 바람에 날려 버린다. 



"내 인생의 십계명" 중(단 한 번도 10개의 계명을 모두 채워본 적은 없지만) 첫째로 꼽히는 계명은 언제나 "인생에는 유치한 일이 없다"란 말이다. 이 세상 살아가는데 유치한 일은 없다. 황석영의 단편 소설 중에 "몰개월의 새"란 것이 있다. 그 소설엔 이런 대목이 나온다.

파월 장병 훈련소인 특교대 근처 갈매기집엔 미자란 여자가 있다. 미자는 내일모레, 당장 떠나는 군인이라도 그가 사람 좋게 보여지면 능동적인 애정을 보였다. 사랑을 받기보다 주려는 사람은 언제나 떳떳하고 자유롭다. 미자는 <나>에게 김밥을 싸들고 면회오기도 했고, 담배 한 갑을 주기도 한다. 병사들이 떠나는 날, 몰개월의 여자들은 트럭에 조그맣고 하얀 선물을 던진다.

“나는 승선해서 손수건에 싼 것을 풀어 보았다. 플라스틱으로 만든 오뚜기 한 쌍이었다. 그 무렵에는 아직 어렸던 모양이라, 나는 그것을 남지나해에 던져 버렸다. 그리고 작전에 나가서야 비로소 인생에는 유치한 일이 없다는 것을 알았다. 서울에서 두 연인들이 헤어지는 장면을 내가 깊은 연민을 가지고 소중히 간직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미자는 우리들 모두를 제것으로 간직한 것이다. 몰개월의 여자들이 달마다 연출하던 이별의 연극은, 살아가는 게 얼마나 소중한가를 아는 자들의 자기 표현임을 내가 눈치챈 것은 훨씬 뒤의 일이다. 그것은 나뿐만 아니라 몰개월을 거쳐 먼 나라의 전장에서 죽어간 모든 병사들이 알고 있는 일이었다.



 
에디는 그렇게 60년대 후반이 미국 샌프란시스코를 떠나 머나먼 나라, 베트남에 간다. 그리고 그는 전선에 투입되고 얼마 안 있어 다리에 부상을 입고 본국으로 돌아와 제대한다. 이제 그는 전쟁을 경험한 젊으나 젊지 않은 젊은이였고, 거리엔 반전 시위의 열기가 아직도 남아 있다. 한 젊은이가 다리를 절뚝이며 해병대 팔각모를 쓰고 걸어오는 에디에게 소리친다. "살인자!" 물론 나는 베트남에게 우리가 사과해야 한다고 믿고 있으며 그것이 옳은 일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베트남에 사과하는 일 못지 않게 우리는 베트남 혹은 우리가 남들 보지 않는 곳에서 종종 비웃듯 말하곤 하는 참전 용사들에 대해 사과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들에게 진심으로 마음에서 우러나는 위로를 건네야 한다고 믿는다. 왜냐하면 그들은 우리를 대신하여 간 것이기 때문이다. 그것이 비록 자원한 것이라 할 지라도 마찬가지다.
 
전쟁에 상처받고 남루해진 마음으로 돌아온 고향에서 에디는 기댈 곳이 없는 자신을 발견한다. 그의 상처받은 마음속에 유일하게 따뜻한 기운을 불러일으킨 것은 오직 로즈뿐이었다.  자칫 신파로 흐르기 쉬운 이 대목에서 낸시 사보카 감독은 신파로 흐르지 않는다. 많은 말로 설명하는 대신, 그 공간을 상상할 수 있는 여백으로 남겨두고 있다. 에디가 천신만고 끝에, 죽음의 사선을 넘어 돌아온 그 곳엔 여전히 로즈가 있었다. 그리고 로즈는 아무 말 없이 에디를 포옹해준다. 가끔 나는 "밥 먹었냐"고 물어주는 소박한 안부에 감동하곤 한다. 가끔 비루먹은 개처럼 그런 안부에 꼬랑지가 흔들리는 걸 느낄 수 있다. 어쩔 수 없는 일이다 .... 그건 개들의 어쩔 수 없는 본성이기 때문이다. 남자들이란 어쩔 수 없다는 말을 하고 싶은 건 아니지만... 이럴 때 최인훈의 광장은 참으로 유용한 변명을 제공해준다. “이 여자를 죽도록 사랑하는 수컷이면 그만이다.”란 말...

 


그래서일까? 이 영화의 원래 제목은 dog fight다. 그리고 개띠 청년이자 이제는 이 세상 사람이 아닌 리버 피닉스의 반항도, 청춘의 스타성으로 덧칠되지 않은 맨 얼굴의 그를 만날 수 있는 영화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