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TERACY

상처 입은 벗에게… 상처 입은 벗에게… 그대도 알다시피 나는 요즘 『논어』를 읽고 있다. 사실 『논어』를 이제 처음 읽는 것은 아니지만 내 나이 마흔에 지리산 종주는 못하더라도 내 나이 오십이 되기 전에 『대학』, 『논어』, 『맹자』, 『중용』 같은 동양고전을 일람(一覽)이라도 해볼 요량으로 시작한 일이다. 나는 『논어』를 잘 읽기 위해 『천자문』을 다시 읽었고, 신영복의 『강의』를, 중국사와 중국철학사를 읽었고, 작년에 『대학』을 읽었다. 세상을 살아가는 일이 책읽기와 같은 일이라면 좋겠다는 생각을 가끔씩 한다. 순서를 정하고 내가 원하고 바라는 바 그대로 차곡차곡 진행시킬 수 있으니 말이다. 요즘 나는 새로운 책을 구입하기보다 어떻게 하면 그동안 내가 구입한 책들의 순서를 정해 잘 읽을 수 있을지 고민 중이다. 직업(職.. 더보기
인문학과 자연과학에 다리 놓을 교육은 뭘까 - <기전문화예술>, 2006년 9.10월호(통권 45호) 문화예술교육기획Ⅴ_ 인문학과 자연과학에 다리 놓을 교육은 뭘까 도정일·최재천, 『대담』, 휴머니스트, 2005 ‘인문학과 자연과학이 만나다’라는 다소 거창해 보이는 부제이긴 하지만 인문학자 도정일(경희대 영어학부 교수, 비평이론) 선생과 자연과학자 최재천(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생물학) 선생의 『대담』은 부제가 어색하지 않을 만큼 밀도 있는 대화를 책 속에담아내고 있다. 『대담』은 지난 2002년부터 2005년까지 벌인 10차례의 대담과 4차례의 인터뷰를 엮은 책으로 얼마 전 황우석 박사의 논문 조작 파동과 맞물리면서 우리 사회에서 과학과 인문학 사이의 교류와 문제의식이 얼마나 소중한 만남인지 다시 한 번 일깨워주는 계기로 주목받았다. 이 책은 인문학과 자연과학이라는 서로 다른 담론체계와 배경문화를 가.. 더보기
논어(論語)-<학이(學而)편>15장. 切磋琢磨 子貢曰 貧而無諂 富而無驕 何如. 子曰 可也. 未若貧而樂 富而好禮者也. 子貢曰 詩云 如切如磋 如琢如磨. 其斯之謂與. 子曰 賜也 始可與言詩已矣. 告諸往而知來者. 자공이 묻기를 “가난하여도 아첨하지 않고 부유하여도 교만하지 않다면 어떻습니까?” 공자께서 말씀하길 “좋으나 가난하여도 즐거워하고 부유하면서도 예를 좋아하는 것만은 못하다.” 자공이 말하길 “시에 이르길 ‘깎고 다듬은 듯 쪼고 간 듯이 한다’고 하였는데 바로 이를 두고 한 말이군요.” 공자께서 말씀하길 “사야, 비로소 너와 더불어 시를 논할 수 있겠구나. 가는 것을 말하니 오는 것을 아는구나.” 「학이」 10장에서 공자의 제자들 중 자공과 자로(子路, BC 543~BC 480)가 없었다면 『논어』가 지금처럼 생생한 재미를 선사하기는 어려웠을 거라고 .. 더보기
초콜릿, 권력의 달콤한 유혹 - <창비어린이> 2004년 겨울호(통권 7호) 초콜릿, 권력의 달콤한 유혹 초콜릿 전쟁 - 청소년 문학선 10 | 원제 The Chocolate War (1974) 로버트 코마이어 (지은이), 안인희 (옮긴이) | 비룡소 전교조 문제로 뜨겁던 여름이 지나간 1989년의 어느 가을 나는 모교의 학생회 부회장을 맡고 있던 후배가 수업 시간 중 교사에게 맞아 병원에 입원했다는 소식을 듣고, 동기 몇 명과 병원을 찾았다. 선배랍시고 찾아간 우리들이 그에게 해줄 수 있는 일은 거의 없었다. 사들고 간 꽃다발을 병에 꽂아주고, 음료수를 권하며 그의 이야기를 들어주고 우리들은 만약 네가 원한다면 이 문제를 민주동문회 차원에서 다루도록 애써 보겠다는 말을 해주었을 뿐이다. 그 말을 들은 후배는 갑자기 경기를 일으키며 어머니를 불렀고, 우리는 어머니에게 떠밀려 병실.. 더보기
배다리의 문화공간화를 둘러싼 제언 - 계간 <작가들>, 2008년 봄(24호) 배다리의 문화공간화를 둘러싼 제언 - 명품도시를 지배하는 공간이데올로기를 전복하라 1. “정명가도(征名假道)” - 명품도시로 갈 테니 길을 내달라 ‘명품도시’란 구호로 떠들썩한 인천은 인천도시엑스포, 인천아시안게임, 인천&아츠 등 연일 대규모 투자로 이루어지는 굵직굵직한 행사와 사업들이 쏟아져 나오며 전국 지자체들의 부러움을 한 몸에 받고 있다. 그런 인천에서 토박이들이 인천시의 개발 사업을 정면으로 가로막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른바 ‘배다리 사태’라 불리는 사건의 간략한 개요를 살펴보면, 인천시와 종합건설본부에서 추진 중인 인천 중구 신흥동 삼익아파트부터 왕복 16차선(너비 50m) 산업도로 건설을 지역주민들이 반대하고 나선 사건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배다리 문제를 바라보면서 문득 선조 24년(159.. 더보기
이명박 시대, 문화운동의 새로운 프레임은 가능한가 - <민예총 신년토론회> (2008. 1.24) 문화운동의 새로운 프레임은 가능한가 - 이명박 시대의 문화운동, 어디로 가는가 저는 지역에서 발간되지만 전국적으로 소통되는 계간지 편집장으로 이 자리에 나왔습니다. 계간지는 월간지나 주간지처럼 특종을 쫓는 것처럼 시대의 이슈를 쫓아가기 보다는 담론의 생산과 매개, 비평에 주력하는 편입니다. 계간지의 책무는 시대를 읽어내고, 그 안에 은폐되어있는 구조를 밝히고 드러내어 지식사회로부터 파급되는 학문적 . 담론적 이슈를 생산하고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런 차원에서 계간지는 지식과 담론의 최전선일 수 있고, 또 다른 의미에서 오늘 저는 이 자리에 참석하신 분들 가운데 비교적 자유로운 입장에 서 있다고 생각합니다. 사실 제가 이런 이야기를 하는 까닭은 오늘 제가 말씀드리려는 내용이 다분히 원론.. 더보기
길은 없으나 걸어가면 만들어지리 - <기전문화예술>, 2007년 겨울호 길은 없으나 걸어가면 만들어지리 책을 덮고 나서 한동안 막막했다. “관련분야의 전공자도 아니고 그렇다고 풍부한 소양을 갖추었다고 하기도 뭐한, 그런 분야의 책을 맡을 때는 오랫동안 망설이게 마련이다. … 그러나 결과적으로 이 책은 몇 가지 이유에서 내 손을 거칠 운명이었다.”는 옮긴이의 말이 없었다면 서평을 겸한 에세이 한 편을 써달라는 청탁에 끝내 응할 수 없었을 것이다. 나 역시 관련분야의 전공자가 아니고, 풍부한 소양을 갖췄다고 할 수 없는 사람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나는 이 책이 몇 가지 이유에서 내 손을 거칠 운명이었다고 말하고 싶어졌다. 고전적 지식인과 근대적 지식인 『다른 곳을 사유하자』는 ‘정주하지 않는 지식인의 삶과 자유’란 부제를 통해 더 자연스럽게 설명될 수 있다. 저자는 우리를 “.. 더보기
100만 원 짜리 다섯 뭉치는 누가 포장했을까? 사소한 일에 목숨을 걸어야 할까? 살다보면 주변 사람들에게 종종 “사소한 일에 목숨 걸지 말라”는 농담 섞인 충고를 많이 받게 됩니다. 저도 간혹 신참들에게 이런 말을 한 적이 있습니다. 그리고 혹시 “동네 무당에겐 영험이 없다”는 말을 들어보신 적도 있을 겁니다. 나사렛에서 태어나고 자란 예수는 갈릴리 호수에서 시작한 수많은 기적들을 통해 전 이스라엘에 그의 이름이 알려집니다. 하지만 명성을 얻은 뒤 찾아간 고향 마을 나사렛에서 그는 뜻밖에 냉담한 반응을 겪습니다. 자신이 어린 시절을 보낸 고향 마을 사람들은 "저게 누구야? 목수 요셉의 장남 예수가 아닌가?"라며 예수를 별로 신뢰하지 않았고, 도리어 갖은 모욕과 조롱을 쏟아댑니다. 이런 일을 겪은 뒤, 예수는 “예언자들은 자신의 고향에서 배척 받는다”.. 더보기
논어(論語)-<학이(學而)편>14장. 食無求飽 居無求安 子曰 君子食無求飽 居無求安, 敏於事而愼於言, 就有道而正焉, 可謂好學也已.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군자는 먹는데 배부름을 구하지 아니하며 거처하는데 편안함을 찾지 아니하고, 일을 행하는 데는 민첩하지만 말을 삼가며 도를 지닌 이에게 나아가 자신을 바르게 한다면 가히 배움을 좋아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논어』가 처음부터 끝까지 통일된 순서를 가지고 있지는 않기 때문에 『논어』의 가장 첫 머리에 “배우고 때때로 익히니 또한 기쁘지 아니한가(學而時習之, 不亦說乎.)”로 시작되는 것에 큰 의미를 부여할 필요는 없을 지도 모른다. 그러나 『논어』를 통해 드러난 공자의 말과 행동이 일관되게 보여주는 것은 공자가 배움, 공부하는 것을 진실로 사랑했던 사람이란 것이다. 언젠가 농담처럼 좋아하는 것과 사랑하는 것의 .. 더보기
문화웹진, 마이너리티와 제도권 사이 - <플랫폼>, 2008년 1,2월호(통권 7호) 2000년대 문화웹진의 흥망성쇠 - 자발적인 마이너리티에서 제도권으로 2004년 연세대 문헌정보학과에서 실시한 대한민국의 인터넷 콘텐츠 보존 실태에 대한 보고서에 따르면 인터넷 강국 대한민국에서 하루에 생성되는 인터넷 페이지는 1,500만 페이지에 이르지만 수명은 고작 70일에 불과하다고 한다. 지난 1996년 창간되어 국내 최초의 웹진으로 기록된 문화비평 웹진 http://webarchive.or.kr/schizo)>는 한때 하루 방문자수가 10만 명에 육박할 정도의 인기를 누렸으나 24호를 마지막으로 폐간되어 사이트 운영이 중지되었고, 정보트러스트센터 등의 도움으로 현재 일부만이 복원되어 남아있는 상태다. 최초의 웹진인 의 흥망성쇠는 오늘 하루 동안에도 생겨나고 사라지는 1,500만 페이지의 인터넷 .. 더보기